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경매3

인터넷으로 건축물대장상 소유자 변경하기(셀프 등기러의 실수) 이하 본문 내용 및 사진은 본인의 네이버 블로그 내용을 옮겨온 것으로 타인에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음 이전에 올린 경매로 취득한 부동산의 강제집행 글의 주인공이 되는 그 부동산은 낙찰 후 소유권 이전 등기를 셀프로 직접 했었다. ​ 중간에 우여곡절(강제집행... 등)을 겪고 이제 세입자를 구해 전세를 맞추려고 (이 과정은 별도의 포스팅으로 다룰 예정이다) 부동산을 방문해서 계약서를 작성하다가 알게 된 사실! ​ 건축물대장에 이전 소유자가 표시되어 있다! ​ 이것 때문에 연차를 내고 싶지는 않고 앉아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 알아보니 세움터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한다. ​ 혹시 나처럼 셀프 등기치고 신나있다가 이렇게 건축물대장을 놓친 분이 계시다면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나처럼 허무한.. 2023. 9. 5.
2023년 부동산 경매 강제집행 절차(계고 일자 확정 및 계고장 전달) 이하 본문 내용 및 사진은 본인의 네이버 블로그 내용을 옮겨온 것으로 타인에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음 지난번 포스트에 적은 것처럼 경매로 취득한 아파트에 살고 있던 채무자와 원만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강제집행을 신청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신청 후 내가 받은 안내와 진행 절차를 정리하려고 한다. [강제집행 신청 +2일] 계고 일자 확정 인천지방법원에 방문해서 강제집행을 신청하고 이틀 후 집행관실에서 전화가 왔다. ​ 긴장하고 전화를 받았는데 친절하게 설명해 주셨다. "강제집행이 어떤 건지 아세요?" 라는 질문으로 말문을 여시면서 먼저는 계고가 있을 것이고 본 집행을 신청하려면 어느 정도 기간과 절차가 필요하다고 자세하게 이야기해 주셨다. 계고장 행정상의 의무 이행을 재촉하는 내용을 담은 문서 계고 일정은.. 2023. 9. 5.
2023년 부동산 경매 강제집행 신청 절차(인천지방법원) 이상 본문 내용 및 사진은 본인의 네이버 블로그 내용을 옮겨온 것으로 타인에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음 부동산 경매 경험이 많지는 않지만 유튜브나 SNS를 제외하면 주변에서 보고 들은 사례 중에서도 강제집행까지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 내가 작년 말에 낙찰받은 아파트는 임차인이 없이 소유자이자 채무자가 주거하고 있었는데 낙찰 직후 초반에는 합의가 잘 되어가는 듯싶어 내심 다행이다 싶었다. ​ 하지만 결국 강제집행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그 절차를 기록해 보려고 한다. 참고로 내가 강제집행을 신청한 시기는 2023년 5월이다. 준비물(개인 명의의 경우) ​ 방문 전 준비물: 1. 신분증 2. 인도명령결정문 3. 수입인지 500원짜리 2장​ (인도명령결정문을 법원에서 재발급 시 1000원짜리 추가로.. 2023. 9. 5.